항혈액응고제 (쿠마딘, 와파린)는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는혈전현상(피떡이 생기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혈액응고작용을 지연시키는 약물입니다. 비타민 K는 혈액응고에 관여하는데, 비타민 K섭취가 과다하면 약물작용에 방해가 되고, 갑자기 섭취가 너무 적어도 약물효과가 커져 출혈등의 문제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타민 K 섭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심장재활센터
영양상담
YOONNYUN KIM internal medicine clinic
식사관리
심장혈관계질환 식사관리를 알아봅시다.
항혈액응고제를 사용하는 경우 주의점은?
항혈액응고제 사용 시 식사지침은?
1) 비타민 K 섭취량을 조절한다
비타민K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을 적게 섭취 합니다. 특히 비타민K가 많은식품을 환,분말형태로 갈아서 먹는 것을 피합니다.
비타민K가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을 적게 섭취 합니다. 특히 비타민K가 많은식품을 환,분말형태로 갈아서 먹는 것을 피합니다.
2) 비타민 K함유량에 따른 식품 분류
식사지침
1. 체중관리를 위해 식사량을 조절합니다
비만은 신체의 혈류량 증가로 인해 고혈압 발생의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비만한 경우, 체중감량을 통해 심장에 부담을 줄입니다. 또한 과도한 열량 섭취는 혈액 내 지질 수치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비만은 신체의 혈류량 증가로 인해 고혈압 발생의 위험이 커집니다. 따라서 비만한 경우, 체중감량을 통해 심장에 부담을 줄입니다. 또한 과도한 열량 섭취는 혈액 내 지질 수치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표준체중(kg) = [키(cm) – 100] x 0.9
비만도(%) = (실제체중-표준체중) / 표준체중 x 100
비만도 – 10% 이하 : 체중미달
비만도 +- 10% 이면 : 정상체중
비만도 +10 ~ 20% : 과체중, 비만
비만도 + 20% 이상 : 비만
비만도 +- 10% 이면 : 정상체중
비만도 +10 ~ 20% : 과체중, 비만
비만도 + 20% 이상 : 비만
2.단순당질 식품의 섭취를 줄입니다.
당질을 과다하게 먹을 경우 혈액 내 중성지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사탕, 꿀,엿, 케익, 과자, 아이스크림, 콜라, 사이다 등은 되도록 줄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당질을 과다하게 먹을 경우 혈액 내 중성지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사탕, 꿀,엿, 케익, 과자, 아이스크림, 콜라, 사이다 등은 되도록 줄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염분을 제한합니다.
과량의 염분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킬수 있습니다. 염분제한 정도는 환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하루 약 5g정도로 염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과량의 염분 섭취는 혈압을 상승시킬수 있습니다. 염분제한 정도는 환자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며, 하루 약 5g정도로 염분 섭취를 제한합니다.
4.포화지방, 콜레스테롤을 제한합니다.
포화지방산은 동물성 기름에 많으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므로 가급적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반면 불포화 지방산은 식물성 기름에 많은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포화지방산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포화지방산은 동물성 기름에 많으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므로 가급적 섭취를 제한해야 합니다. 반면 불포화 지방산은 식물성 기름에 많은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으므로 포화지방산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을 이용하도록 합니다.
■ 포화지방산이 많은 식품 : 삽겹살, 갈비, 베이컨, 닭껍질, 버터, 치즈,우유(전유), 생크림, 초콜릿, 코코넛기름
■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품 : 등푸른생선, 계란, 견과류, 아보카도, 연어, 올리브유
5.섬유소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섬유소를 많이 먹으면 혈액 내 콜레스테롤수치가 낮아지고 체중 감소에도 도움이 되므로 신선한 채소나 과일, 잡곡, 현미, 콩류, 해조류 등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섬유소를 많이 먹으면 혈액 내 콜레스테롤수치가 낮아지고 체중 감소에도 도움이 되므로 신선한 채소나 과일, 잡곡, 현미, 콩류, 해조류 등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6. 카페인을 제한합니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커피, 홍차, 초콜릿, 콜라 등 카페인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제한합니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커피, 홍차, 초콜릿, 콜라 등 카페인이 많이 들어 있는 식품은 제한합니다.
7. 술은 가급적 피합니다.
알코올은 혈액 내 중성지방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소주, 맥주, 위스키, 포도주, 정종 등은 되도록 삼갑니다.
알코올은 혈액 내 중성지방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소주, 맥주, 위스키, 포도주, 정종 등은 되도록 삼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