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혈관계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
– 최대 산소 섭취량
– 체력정도를 분류
– 무 증상인들의 심혈관계 상태 사정 (Screening of asymptomatics individual)
–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 평가
– 체력정도를 분류
– 무 증상인들의 심혈관계 상태 사정 (Screening of asymptomatics individual)
–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 평가
■ 심근허혈 진단
– 고위험군, 중위험군, 저위험군 구분
– 관상동맥 질환 정도를 평가
– 심근경색(MI), 환자의 예후 평가, 관상동맥 병변, CABG후의 평가
– 관상동맥 질환 정도를 평가
– 심근경색(MI), 환자의 예후 평가, 관상동맥 병변, CABG후의 평가
■ 심장질환과 관련된 증상을 평가
– 협심증 (angina pectoris)
– 의식소실 (syncope)
– 호흡곤란 (dyspnea)
– 심계항진 (palpitations)
– 의식소실 (syncope)
– 호흡곤란 (dyspnea)
– 심계항진 (palpitations)
■ 부정맥 평가
– 적정한 치료의 선택
– 치료효과를 평가
– 치료효과를 평가
■ 운동시 반응하는 혈액동력학적 반응을 평가
■ 심장수술 전후의 평가
■ 무증상 심근허혈을 평가.